저 지난 해인가에 두부를 만드는 콩이 다 소진되어 다른 콩자루를 개봉하려고 보니 아뿔싸 양상군자께서두부를 만들어 먹어려고 보관해둔 콩은 물론 이듬해 씨앗용 콩까지 모두 난장판을 만들어 놓았다.

창고 바닥이 판자인데 이빨로 깕아 구멍을 내어 출입했던 모양이다.

그 당시 약국에서 구입한 쥐약으로 모두 정리한 것으로 알고 잊고 있었는데 이번에 또 두부용 콩을 정리하다보니 창고 바닥에  구멍을 만들고는 콩자루 1개를 개봉해서 시식을 하는 중이었다.

그나마 처음 시작 단계에 발견하여 피해는 크지 않았다.

약국에서 쥐약을 새로 구입하여 양상군자께서 먹기에 좋은 위치에 준비해 두고는 쥐약의 양이 줄어들 때마다 보충했더니

마침내 포도나무 덩쿨아래에서 배가 뽈록하게된 채로 바르르 떨면서 고슴도치처럼 웅크리고 있었고 또 한마리는 다른 곳에서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최근 몇일째 준비해둔 쥐약이 더 이상 줄어 들지않는  것을 보니  이제 양상군자는 모두 정리된 것 같다.

곡간을 더 이상 해하지않는 것은 바가운 일이나 쥐도 한 생명체인데 마음 한켠에서는 찡한 느김이 든다.

 

쥐와 관련된 기원전 중국 진시황 시대에 승상을 지낸 이사라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가 새삼 떠오른다.

이사는 젊은 시절  당시 초나라의 작은 고을 하급관리가 되었다.

어느날 그는, 관청 뒷간의 쥐는 불결한 것을 먹으면서 사람이나 개가 가까이 가면 놀라서 달아나지만, 광 안의 쥐는 쌓아둔

쌀을 먹으면서도 사람이나 개가 가도 그리 놀라는 기색이 없고, 또한 넓은 지붕밑에서 편하게 사는 것을 보고는 크게 

깨달았다.

"사람이 어질다 어리석다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쥐와 같아서 스스로 있는 곳에 따라 다르구나"

마침내 이사 자신도 대처로 나가 진나라 시황제의 승상의 지위에 까지 오르게 되었다.

 

단감나무 소독

'횡설수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명  (0) 2022.11.14
이완대장과 산월이  (0) 2022.06.26
보리수나무  (0) 2022.05.24
두견새  (0) 2022.05.09
악어신세2  (0) 2022.04.28

몇일전 손녀가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손녀의 이름표가 붙어있는 토마토 1포기를 가져왔기에

농장에 가져와서 이식하였다.

어느새 뿌리를 내려 꽃이피고 열매까지 몇개 맺혀있다.

그 옆에는 수박넝쿨이 제법 무성하여 어른 주먹만한 크기의 수박도 여러개 달려있다.

수박은 손자가 매우 좋아하여 지난해부터 정성들여 가꾸고 있다.

지난 5월초에 수박모종을 처음 심었을 때 다섯살도 덜된 손자가 물조리개로 낑낑대며 물을 주고는

"수박아 물 많이 먹고 잘 자라라" 하고 당부를 하여서인지 올해처럼 심한 가뭄에도 싱싱하게 

잘 자라고 있다.

어서빨리 가뭄이  멈춰야 될텐데...

토마토와 수박

 

 

'신변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아버지 고추  (0) 2022.07.22
6월 어느날 비오는 날의 삽화  (0) 2022.06.14
대팽고회  (0) 2022.05.07
효도  (0) 2020.01.09
짤순이를 들이다  (0) 2017.09.08

[김규나의 소설 같은 세상] [164] 손자 손녀가 없는 노년

입력 2022.06.01 03:00
 
 
 
 
 
단편소설 ‘어느새’가 담긴 ‘빛바랜 정원(faded garden)’.

“만약에 우리한테 아이가 있었다면 말이에요. 재롱을 피우고 우리를 사랑해주고, 어른이 되어 또 다른 아이의 부모가 되었을 자식이 있었다면 말이죠. 우리의 늘그막이 얼마나 빛났을까요. 예쁜 장난감과 사탕을 준비하고, 트리에 불을 밝히고, 신이 나서 춤을 추는 커다란 눈망울을 바라볼 때 ‘할아버지, 할머니’ 하고 부르는 달콤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얼마나 근사한 크리스마스가 되었을까요.” - 힐데가르드 호손 ‘어느새’ 중에서

결혼하고 아이를 갖는 것이 당연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는 ‘태어날 아이에게 못 할 짓’이라며 낳지 않는 부부가 많다. 2021년 우리나라 출산율은 198국 중 2년 연속 꼴찌다. 2060년이면 65세 이상 노령 인구가 국민의 절반을 넘는다. 100년 후 전체 인구는 1500만명. 그리 멀지 않은 미래, 우리의 유전자를 나눠 가진 사람은 지구에서 사라질 것이다.

소설 속 노부부는 평생 서로를 사랑하며 살아왔다. 무엇 하나 부러울 것 없는 삶이었지만 자식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할 때 두 사람 모두 가슴이 시리다. 그러던 어느 날, 작고 예쁜 여자아이가 그들을 찾아온다. 젊은 시절 품어보지 못한 자식처럼, 늘그막에 안아보았으면 했던 손녀처럼 아이는 재롱을 떨고 소리 내 웃으며 집안을 환히 밝힌다.

 

노부부는 지금껏 누려보지 못한 행복에 감사한다. 새근새근 잠든 아이를 바라보며 흰머리를 맞댄 그들도 영원한 잠에 빠져든다. 아이와의 시간은 그들 부부가 이생에서 함께한 마지막 꿈이었다. ‘주홍글씨’의 작가 너새니얼 호손의 손녀가 쓴 소설이다. 곧 사라질 말이겠지만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딸이 ‘대를 이어서’ 소설을 썼다.

마침 지방선거일이다. 대선, 총선, 재·보궐 등, 그 많은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은 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한다. 그런데 왜 점점 더 아이 낳아 키우기 싫은 세상이 되는 것일까. 정치인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는 한, 한국인의 소멸은 막을 수 없다. 자식도 손자도 없던 노부부의 쓸쓸한 꿈이 젊은 세대의 마지막 꿈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 조금 슬프다.

'퍼온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력서 양식  (0) 2013.05.14
신상명세서(이력서)  (0) 2013.05.06
입사구비서류  (0) 2013.05.06
인성검사 체크리스트  (0) 2013.05.06

오늘은 보리수나무 열매가 잘 익어 한웅쿰 따서 먹어보니 그 맛이 상큼하다.

보리수 하면 석가모니가 그 아래에서 태어나자마자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고 하며

걸어 갔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젊은 시절 직장생활을 할 당시 하루는 어떤 땡중(스님)이 프라자 객실에서 창구 여직원에게 삿대질을 하며 고함을 치고있길래 응접실에 모셔놓고 자초지종을 들어보니 내용인즉슨 통신요금을 제때 납부하지 않아 전화가 끊어졌단다.

자존심이 많이 상했던 모양이다. 몇일간의 말미를 주고 끊어진 전화를 다시 살려주었다.

 

스님은 그냥 돌아가기에는 게면쩍었는지 몇마디 주절주절한다.

마리아가 말이야 결혼도 아니했는데 아이를 낳아서 말이야 ...

어찌 그러한 일이 일어날 수가 있느냐며 잘 난체를 한다.

그래서 내가 되물어 보았다.

예수는 동정녀 마리아로부터 태어났다고 했는데

그러면 석가모니는 어떻게 태어났는지 아느냐고 하니 멀뚱멀뚱 나를 쳐다보기만 한다.

 

석가는 인도 작은 왕국의 왕비인 마야부인이 룸비니동산의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부인의 오른쪽 옆구리로 낳았다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냐고 하니까 허둥지둥 급하게 인사하고 가버린 일이 새삼 떠올라 

나도 몇마디 주절주절 해본다.  

  

상큼한 보리수나무 열매

'횡설수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완대장과 산월이  (0) 2022.06.26
양상군자  (0) 2022.06.12
두견새  (0) 2022.05.09
악어신세2  (0) 2022.04.28
악어신세  (0) 2022.04.24

+ Recent posts